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오블완
- 영어표현
- avocado color
- 영어표현20
- 영어문장
- Python
- 20문장
- 파이썬
- Trudeau
- 두번째삶
- 윤석열탄핵소추안가결
- 2025 year
- good avocado
- prime minister justin trudeau
- 루이지만조니
- 영어회화암기
- 자주쓰는영어회화
- 원어민영어표현
- 원어민표현
- 만조니
- 영어회화공부
- 아보카도 색깔
- 티스토리챌린지
- secondlife
- 영어회화
- 파이썬공부
- 영어문장20개
- Trump
- 영어20문장
- 영어공부
- Today
- Total
목록파이썬공부 (5)
쿨가이두번째삶
상속 부모클래스에서 상속받은 메소드를 자식클래스에서 다시 정의하는것.(상속받은것을 수정) 부모클래스로부터 상속 받은 메소드를 그대로 쓰면 >> 부모 클래스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것이고 부모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수정하면 >> 자식클래스의 메소드를 사용하게된다
지역변수 >>함수 내에서 정의된 변수, 그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ex) def secret(): message = '비밀' print(message) message = '함수 내에서는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' def please(): message = '동일한 이름 같은값일까' print(message) >>message messgae 각각 함수 내에서 사용했기에 값을 출력할 수 있다, 하지만, 똑같은 'message'값을 넣고 나타낼때 각각 사용된 'secret' 와 'please'는 같은 변수가 아닌 지역변수들이다. 전역변수 >>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음(함수안, 밖 관계없이 사용가능) ex) message = '함수 밖에서 만들면 전역 변수' print(message) >> 함수 밖에서 만들면 ..
리스트(list) #리스트는 숫자 순서대로 관리하는 박스 ex1) list = ['python', 'java', 'html'] print(list[0]) >>python ex2) print(list[2]) >>html 순서대로 부분을 잘라서 리스트 할 수 있다 ex) list=['python', 'java', 'html'] print(list[0:2]) #print(list[:2]) 같은 값이다 >>['python', 'java', 'html'] 어떤 값이 있는지 알아보려면 ex) list=['python', 'java', 'html'] print('java' in list) >>True #찾고자 하는 값이 있는지 결과는 불리안(true/faluse)으로 나타낸다 리스트 안에 몇 개의 값이 있는지 확인 ..
파이썬 python 문자열 처리 drink = '커피' two = '2잔' please = drink + two >> 커피 2잔 please = please + 부탁합니다 please += '부탁합니다' >> 커피 2잔 부탁합니다 길이(lengh) drink = '커피' print(len(drink)) >>2 drink = '''아침에 커피 한잔은 국룰이죠''' >>14 메서드(method) = 어떤 동작이나 기능을 하는 코드들의 묶음 ex) letter = ' how are You' Y 부분도 '소문자'로 바꾸려면 print(letter.lower()) >> how are you 반대로, 모든 부분을 '대문자'로 바꾸려면 print(letter.upper()) >>HOW ARE YOU '첫 글자'만 대..
Python 형 변환 int() 정수 float() 소수 str() 문자 bool(불)리안) ex> int('7') float('1.7') str(7) bool(false, true) int = 정수 숫자만 올 수 있다. ex> int('7') === O int('7.1) === X 이럴 경우는 int(float('7,1')) int안에 float 소수를 넣어 변형해주면 된다 bool(불)리안) = 값이 있으면 True, 값이 없으면 False ex) a= 'hi' hi라는 값이 들어있으니 True b= ' ' 빈 공간이 들어 있으니 True c= '' 값이 안 들어 있으니 False 산술 연산자 기호 의미 예시 + 더하기 print(5+2) - 빼기 print(5-2) * 곱하기 print(5*2) /..